NEO 아트센터 본문

Visual promotion

느슨한 유역 전시 배너
김동영 개인전 배너
휴관일 알림
상단2
상단3

    Text promotion

    서울 인사동에 위치한 충북갤러리는 충북의 다양하고
    우수한 작품과 문화행사 등을 소개하고, 충북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문화공간입니다.

    Exhibition.

    • Off Line - Now Open 2025 충북갤러리 기획자 공모전 <느슨한 유역> 2025.10.16 ~ 11.03

      느슨한 연대의 유역 글/ 쉐마미술관 부관장 한영애 이 전시는 중앙 집중화로 인한 지역 미술계의 소외 문제를 인식하고, 충북 청주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들의 느슨한 연대를 통해 대안을 제시하여 지역성과 예술적 다양성의 균형을 모색하고, 현대 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기획되었다. 한국 미술은 중앙 중심의 대학과 단체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그 흐름은 지역으로 확산했다. 청주의 미술 활동은 오페라다방, 청탑화랑 등을 시작으로 다양한 단체를 통해 이어졌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철학, 사상과 담론의 변화와 발전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해온 현재에 이르러서는 그러한 단체나 협회의 존재가 사실상 유명무실한 것이 사실이나 최근 중앙으로의 집중 현상은 자원고갈과 인재 고갈, 문화고갈 등의 상황을 야기하며 지역 특색과 균형발전의 의미를 퇴색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이번 전시는 ‘느슨한 연대’라는 개념 아래 작가 간 연대와 교류 그리고 확장의 가능성을 실험하려 한다. 예술의 고고한 흐름은 어디에서나 흐르고 있다. 그것은 암반에 송송이 맺히고, 뭉쳐 흐름을 이루고 굵은 물줄기는 역사에 자욱을 남기며 고고히 흘러 대양으로 합류한다. ‘느슨한 유역’ 기획은 강의 유역처럼 느슨하게 모여 공존하는 충북의 예술적 연대를 충북 청주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중견 및 청년 작가 6인을 사윤택×임윤묵, 최민건×오승언, 김윤섭×한이경, 세 쌍으로 매칭해 작업의 개념, 매체, 형식에서의 교차점을 보여주며 지역 미술의 미래를 조망하려 한다. 이번 전시에서 현재 충북의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지금의 양극화되고 충북의 흐름을 고양하기 위해 2025년 10월 16일 아티스트 토크 및 워크숍을 준비하고 있다. 이 자리에는 이윤희 평론가(전 청주시립미술관 학예팀장)가 참여하여 세 쌍의 매칭 작가들을 통해 발견된 지역성과 동시대성의 교차점, 연대 가능성, 그리고 각자의 작업 세계를 공유한다. 이를 통해 충북 예술의 정체성과 미래 가능성을 함께 사유하며, 지역 미술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On Exhibition.

    Archive

    Notice

    하단1
    하단2